식이보조제를 투여>관찰>적정량의 Glyco-1투여> 영양학적 유효량 공급>당 영양소 함유 식이보조제는 상기 나열된 질환의 치료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. = 이 외에 많은 난치병도 가능하다는 말이겠지요. 식이보조제는 환자 신체가 자체 치유력을 가질 수 있는데 필요한 당영양소를 환자에게 공급해 준다. 상기 질환들을 나열해 보겠습니다. 노화 진행 또는 최적의 건강 계획, 지속적인 노인성 발작, 다발성 동맥경화증, 근위축성 외측 동맥경화증(루게릭병), 근 영양실조(근이 영양증), 대뇌마비, 모반퇴화(황반변성), 발작, 다운 증후군, 전신복합적 면역 결핍증후군, 가족석ㅇ 흑내장성 백치(Tay-Sachs) 색소성 망막염, 색맹, 헌팅톤 무도병, 알츠하이머병, 파킨슨병, 염증성 다발성 신경장애, 폐쇄성 두부 창상 증후군